본문 바로가기
철학

프랜시스 베이컨의 귀납법

by 지며리 2022. 3. 12.
반응형

베이컨은 인류가 지식을 통해서 자연에 관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학문의 발전을 도모했던 최초의 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식을 통하여 인간은 지금까지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부와 만족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실용주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은 정치학, , 문학, 철학, 자연과학 등 학문의 전 영역을 연구하였습니다. 대학에서 교육을 받은 그는 정치가로서 성공하여 재상에 오르고 자작의 칭호도 받습니다. 베이컨은 학문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자신의 정치적 힘을 활용합니다. 야콥 1세를 설득하여 경험 과학을 연구하는 대학을 설립하도록 했으며, 옥스퍼드대학과 캠브리지대학에서 새로운 과학을 가르칠 수 있게 했습니다. 베이컨은 이론적인 것과 실천적인 것을 결합할 줄 알았습니다. 베이컨은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미줄을 만드는 거미와 같다고 보았습니다. 자신들이 이룩한 학문의 거미줄로 자연을 송두리째 사로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이 실용적이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전통적인 학문으로는 자연을 정복할 수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베이컨은 전통 학문이 우리의 지식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환영에 불과할 뿐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자연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학문의 언어에 머물지 말고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사물을 제대로 알기 위해 선입견을 버려야 하면 네 가지 우상설을 제기합니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네 가지 우상

 

종족의 우상은 한 집단이 무리 지어 갖는 편견입니다. 한 민족이 다른 민족에게 갖는 편견이나, 한 지방 사람들이 다른 지방 사람에게 갖는 잘못된 생각을 말합니다. 동굴의 우상은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을 뜻하며 성장과정, 교육, 습관 등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시장의 우상은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비판 없이 따라가는 것을 뜻합니다. 자신을 믿기보다는 남의 말에 따라 움직이며, 남의 말에 현혹되어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극장의 우상은 권위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에서 나오는 편견입니다. 전통이나 어려운 학설과 지식을 나열한 많은 이론에 눌려서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내세우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종교족인 미신도 여기에 속합니다.

 

귀납법과 연역법

 

이러한 우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베이컨은 귀납법을 주장합니다. 이 방법은 우선 관찰과 실험에서 시작합니다. 수집한 자료를 비교한 뒤 결론을 내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연히 일어나는 경험이 아니라, 계획적인 실험과 목적 있는 관찰을 전제로 합니다. 자연과학적 기술 발전의 가치를 믿고 이를 위해 정치에도 뛰어들었던 베이컨은 철학의 혁명을 주장했습니다. 한 사회가 걷게 되는 운명적인 길에 관한 주장이나 종교적 금지에 관한 비판도 이러한 배경에서 나옵니다. 베이컨은 인간이 자연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학문 방법을 탐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자연에 관한 지식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우리는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사실을 관찰하고, 그 내용을 기술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런 정보는 많을수록 좋습니다. 관찰 연구는 많은 사람이 함께 할수록 좋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공동체와 연구소를 권장합니다. 연구중에 중요한 것은 사실만을 말하고, 그 사실을 있는 그대로 연구하는 것입니다. 자료와 정보를 충분히 모으면, 자연을 지배하는 규칙을 알게 되고, 인과관계를 파악여 자연법칙이 작용하는 원리를 이해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보편적 법칙을 찾아냅니다. 찾아낸 법칙은 실험을 통해 검토를 하게 되고, 이 실험을 통과하면 실제로 자연법칙을 알아내게 됩니다. 또한 이 법칙을 통해서 다른 경우를 도출해 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직적 경험하지 않은 구체적 사례도 이 법칙에 근거하여 정확한 판단을 할 수가 있습니다. 자연법칙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구체적 사례로부터 보편적인 것으로 나아갔기 때문에 귀납법을 적용한 것입니다. 이와 반대로 보편 법칙을 사용하여 구체적 사례를 판단하는 것은 연역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 데카르트의 의식철학  (0) 2022.03.13
물질주의자 홉스  (0) 2022.03.13
신앙 대신 자유를 찾는 휴머니즘  (0) 2022.03.12
진정한 과학자 아이작 뉴턴  (0) 2022.03.11
피사의 별 갈릴레이  (0) 2022.03.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