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by 지며리 2022. 3. 24.
반응형

존 스튜어트 밀은 아버지 제임스 밀에게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랐습니다. 밀의 아버지는 루소의 교육 철학에 영향을 받아 본인이 아들의 교육을 맡았습니다. 밀은 일찍부터 아버지에게 고전어와 수학, 국민 경제학을 배웠고, 밀은 다시 이것을 누이동생에게 가르쳤습니다.

 

 

제임스 밀은 심리학자이며 국민 경제학자로 인정받은 사람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하는 공리주의를 제창한 제러미 벤담과 절친한 친구 사이였습니다. 이런 환경 덕분에 밀은 일찍부터 공리주의적 교육을 받으면서 성장했습니다. 공리주의적 교육이란, 교육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당시의 교육 체계를 비판하면서 철저한 교육을 통해서 사람을 유용한 인간으로 키울 수 있다고 확신하는 이론입니다. 이런 아버지 덕분에 그 자신은 또래의 사람보다 무려 25년이나 앞서서 인생을 살았다고 술회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17세의 나이로 동인도 회사에서 일하기 시작해서 35년의 성실하게 근무했기 때문에 경제적인 안정을 누릴 수 있었고, 경제적으로 시달리는 콩트에게도 물질적인 도움을 주기도 했습니다. 밀은 자신의 젊은 시절 벤담의 공리주의 테두리 안에 갇힌 사유하는 기계가 되었다고 자기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벤담의 공리주의 교육을 받은 사람이 겪을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합니다. 특히 밀은 20세에 심각한 정신적 위기를 겪기도 했습니다. 지나치게 엄격한 아버지의 이성주의에 눌려 밀은 정서적인 불안을 겪게 됩니다. 아무에게서도 사랑받은 적이 없고, 아무도 사랑한 적이 없다는 절망감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머리만을 위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 부딪히는 가슴의 문제를 드러나게 합니다. 이를 계기로 밀은 낭만주의에 관심을 갖게 되고, 이를 통해 인간의 다양한 감정과 욕망에 관한 폭넓은 이해를 하게 됩니다. 밀이 공리주의에서 멀어진 것이 아니라, 더욱더 체계적으로 보완된 이론으로 성숙시킴으로써 공리주의는 대중 다수로부터 호응을 얻게 됩니다. 밀의 철학은 단순한 실증주의적 공리주의가 아니고, 여기에 자유주의를 포함하는 것으로 무엇보다도 전체주의를 거부합니다. 귀족 특권과 정치적 권력을 비판하고, 여성의 해방과 모든 면에서 남녀의 동등성을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여성관을 갖게 된 커다란 이유는 그가 평생 존경하고 사랑했던 아내 해리엇 테일러를 만났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자립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으로 밀은 그녀를 영혼의 친구라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아내의 사후에는 그녀의 무덤이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이사하여 평생 그곳에서 살았습니다.

반응형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산당의 아버지 칼 마르크스  (0) 2022.03.26
헤겔 철학의 분리와 헤겔 좌파  (0) 2022.03.25
콩트의 실증주의  (0) 2022.03.23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  (0) 2022.03.22
우울한 쇼펜하우어  (0) 2022.03.21

댓글